>>> def listtest(a=[]): b=[] a.append("A") b.append("B") print(a) print(b) >>> for t in range(3): listtest() ['A']['B']['A', 'A']['B']['A', 'A', 'A']['B'] 위와같은 결과를 볼수 있음 즉 for문으로 함수를 호출시 인자로 입력한 a=[] 는 처음실행시 한번만 호출된후 넘어가기되지만함수안에서 선언한 b=[] 변수는 지속적인 초기화가 가능함굳이 for문이 아니더라도 같은 스크립트 안에서는 인자로 받은 변수는 초기화가 되질 않음 확인 하지만, 인자를 숫자로 받고 숫자를 1씩 증가시켰을때는 초기화가 됨아래와 같이...>>> def inttest(a=1): b=1 a += 1 b += 1 pri..
※ 2.x는 2.5나 2.6버전을 의미함-. print가 함수형태로 변경됨python 2.x>>> print "welcome to","python"welcome to python>>> python 3>>> print "welcome to","python"welcome to python>>> 또한 입력인자로 구분자(sep), 끝라인(end), 출력(file)을 지정해 줄수 있다.>>> print("welcome to","python",sep="~",end="!",file=sys.stderr)welcome to~python!>>> 이와 유사하게 입출력관련해서 raw_input이 input으로 변경되고, as,with예약어가 추가되었으며, 새로운 문자열 포맷팅을 제공함 -. long형이 없어지고 ing형으로 ..
-. 함수형태로 변한 print문python 2print “python”python 3print(“python”)입력인자를 지정해줄수 있음sep=” “(구분자)end=”\n”(끝라인)file=sys.stdout(출력) -. long형이 없어지고 ing형으로 통일됨python 2 >>> type(2**63) python 3 >>> type(2**63) 2에서는 sys.maxint이하의 값은 int로 처리되고 그 이상의 값은 long으로 처리되었는데 3에서부터는 모두 int로 처리됨 -. [ int / int] 의 결과는 float으로 처리됨python 2>>> 1/20>>> 3/21python 3>>> 1/20.5>>> 3/21.5 2에서는 int / int의 결과는 int로만 나왔는데 3부턴 int / ..
-. argvPython 스크립트로 넘어온 입력인자들의 리스트0번째는 스크립트의 이름이며, 그 이후부터 인자가 설정됨import sysfor i,t in enumerate(sys.argv): print(i,t) 실행[root@localhost systest]# python systest.py arg1 arg2 arg3(0, 'systest.py')(1, 'arg1')(2, 'arg2')(3, 'arg3') -. exc_info()현재 발생한 예외정보를 튜플로 반환 #예외가 없는 경우 None을 반환>>> sys.exc_info()(None, None, None)import systry: 1/0except: (ec,ev,tb) = sys.exc_info() print(ec) print(ev) print(t..
import os >>디렉토리 변경 및 확인> os.getcwd()'c:\\Python32' -. chdir(path)작업디렉토리 변경>>> os.chdir("test")>>> os.getcwd()'c:\\Python32\\test' -. listdir(path)해당경로(path)에 존재하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리스트로 반환# “.”일경우 현재디렉토리 반환>>> os.listdir(".")['DLLs', 'Doc', 'include', 'Lib', 'libs', 'LICENSE.txt', 'NEWS.txt', 'python.exe', 'pythonw.exe', 'README.txt', 'tcl', 'test', 'test.db', 'Tools', 'w9xpopen.exe'] -. access(path,mo..
map(,) 시퀀스형 객체를 순환, 함수에 대입하여 값을 재갱신>>> A = [1,2,3]>>> def M2(i): #입력받은 값에 * 2를 하여 반환하는 함수 생성 return i * 2>>> for i in map(M2,A): #M2 함수를 이용하여 A의 값을 순환하며 * 2를 수행 print(i)246 lambda함수 사용 가능>>> for i in map((lambda i:i*2),L): print(i)246 -. 함수에서 2개 이상의 인자를 받는경우>>> for i in map(pow,A,B): print(i)143
3개 이상의 이터레이터가능한 객체를 튜플형태의 쌍으로 묶음 -. 리스트 A,B를 zip함수를 이용하여 묶기>>> A = [1,2,3]>>> B = ['A','B','C']>>> for i in zip(A,B): print(i)(1, 'A')(2, 'B')(3, 'C') -. zip()함수를 이용한 리스트 생성과 분리(*)>>> re_L = list(zip(A,B)) #튜플의 쌍으로 이루어진 리스트>>> re_L[(1, 'A'), (2, 'B'), (3, 'C')]>>> r_A,r_B = zip(*re_L) #* 을 이용하여 zip함수로 생성된 리스트를 분리하여 다시 r_A,r_B에 저장>>> r_A(1, 2, 3)>>> r_B('A', 'B', 'C') -. 2개 이상의 객체에 사용가능, 인자의 개수가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rivate
- highlightthickness
- indicatoron
- Linux
- 리눅스
- JPA
- disabledforeground
- ManyToOne
- activeforeground
- tkinter command & bind [명령어묶기와 사건묶기] Python
- highlightbackground
- 폼
- tkinter
- Java
- apache
- 파이썬
- command
- Excel
- activebackground
- onetomany
- FetchType
- Composite Key
- IdClass
- 상수
- Module
- borderwidth
- fetch join
- vba
- checkbutton
- Pyth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